아래 로드맵의 분야명을 클릭하시면 각 분야별 세부 사업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KETEP R&D 사업
사업안내
분야 |
에너지공급 | 전달 | 에너지수요 | ||
---|---|---|---|---|---|
전주기 에너지 시스템 |
|
||||
기술 개발 분야 |
|||||
개발 · 순환 CCUS |
|||||
기술 기반 분야 |
에너지공급 | ||
---|---|---|
전주기 에너지 시스템 |
|
|
기술 개발 분야 |
||
전달 | ||
전주기 에너지 시스템 |
|
|
기술 개발 분야 |
||
에너지수요 | ||
전주기 에너지 시스템 |
|
|
기술 개발 분야 |
||
개발 · 순환 CCUS |
||
기술 기반 분야 |
국제협력

지원 개요
- 선도기술 조기 확보와 국내 에너지기술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선진국, 개도국과의 공동연구 및 양·다자간 국제협력 추진
세부 내용
국제공동연구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선진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를 통한 기술 습득 또는 공동개발을 통해 국내 조기 확보가 필요한 기술 획득. 또한 수출 유망기술의 현지 맞춤형 기술개발 및 실증 R&D를 통해 국내 기술의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
- 에너지기술선도 선도기술 조기 확보와 국내 에너지기술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선진국, 개도국과의 공동연구 및 양·다자간 국제협력 추진
- 글로벌시장개척 국내 우수 청정에너지기술의 현지 맞춤형 기술개발과 실증연구를 통한 수출 산업화
- 국제공동연구센터 에너지분야 글로벌 최고수준의 연구기관과 국내 우수 연구기관의 지속가능한 R&D 협력체계 구축 및 혁신 연구성과 창출
국제협력
정부간 에너지기술협력 MOU체결, 에너지기술 네트워킹, 다자간 협의체 및 글로벌 이니셔티브 참여 등 에너지 기술교류협력. 또한 국내·외 에너지 관련 보고서, 에너지기술 동향 등을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제공, 미국 등 에너지협력 센터 구축·운영
- 양자협력 미주, 유럽, 아시아 국가 정부·기관과 사전 네트워킹, 연구기관 기술교류(세미나, 워크숍 등) 등을 실시하여 공동연구 지원기반을 확보
- 다자협력 국제에너지기구 기술협의체 전문가 활동 지원, 미션이노베이션 사무국 운영, 세계은행, 녹색기후기금(GCF) 등과의 협력을 통한 해외 개발사업 참여 기회 확대
- 세계에너지시장 정보플랫폼 국가별 에너지정책 및 제도, 산업별 통계, 정책 동향보고서, 에너지 산업기술 뉴스, 입찰정보, 해외진출사업 정보 등 제공
- 에너지협력센터 탄소중립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중립 에너지기술협력에 특화된 해외 현지 거점을 구축하여 국내 기업·연구소의 기술협력, 사업화촉진, 인력·정보 교류 추진

기술사업화

지원 개요
- 에너지기술개발 이후 후속 R&D(사업화 R&D)·사업화 금융·사업화 인프라 조성 지원 등을 통한 에너지혁신벤처의 혁신성장 지원
- 글로벌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글로벌시장을 선도하고 국가 경제에 이바지할 초격차 친환경 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 지원
세부 내용
사업화 R&D 지원
사용자 참여형 연구를 통한 에너지기술 수용성 제고와 민간투자 연계 기후테크·초격차 혁신기술 보유 기업의 사업화 지원
- 에너지기술 수용성제고 에너지기술의 현장 적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사용자 참여형 연구를 통해 해결하여 수용성 향상 및 사업화 촉진(’16년~)
- 기술 적용 문제해결 : 에너지자립섬 재생에너지 설비 운영·관리 등
- 에너지 안전 : 해상풍력 및 전기차 화재 관련 안전 문제 등
- 사용자 편의성 : 지하철, 학교 교실, 대학 냉난방 운영 개선 등
- 민간투자 연계 사업화 R&D 기후테크 분야의 에너지신산업에서 민간투자 확대를 유도하여 초격차 기술확보를 위한 혁신생태계 조성 및 사업화 지원(’25년~)
- 이노비즈, 벤처기업, 연구소기업 등 혁신기술 보유 역량 기업 대상으로 지원
사업화 금융 지원
에너지산업 민간투자 활성화 기반 마련을 위한 에너지전문펀드 조성·에너지기업 투자유치 역량 강화·에너지기술 가치평가 지원
- 펀드 조성 지원 기술혁신전문펀드(모펀드) 내 에너지분야 전문펀드(자펀드) 조성* 지원
* 최근 3년간 탄소중립 혁신벤처, 해외진출, 기후테크 등 에너지펀드 조성(≥1,700억원) - 투자유치 지원 에너지기업 투자유치 역량 강화 및 투자기관과의 네트워킹 지원
- ’24년 투자IR 행사 3회 개최(4월, 10월, 11월)
- 기후가치평가 지원 에너지기업 대상 기후가치평가*, 기후·환경성 컨설팅 및 투자유치 연계(전략수립, 투자중개) 지원
* 기후기술의 사업화를 통한 예상 온실가스 감축량을 추정하고 화폐적 가치/등급으로 기후·환경적 효과성을 평가하는 에너지 특화 기술평가 모델
사업화 인프라 조성지원
- 규제 개선 산업부 규제특례지원단(에기평 포함 13개 기관) 참여를 통한 에너지산업 분야 규제 애로사항 해소 지원
- 기획형 샌드박스 과제 발굴·기획, R&D·법령정비·실증현장 컨설팅, 시험·인증 자문 등
- 판로 지원 에너지 혁신제품의 판로개척을 위한 녹색 인증 지원*과 조달청 벤처나라** 상품등록 추천 지원
* 전담기관 KIAT에서 녹색인증사무국을 운영하고, 에기평은 에너지기술 분야 평가기관 역할 수행 (부처별 기술영역에 따라 11개 평가기관 지정)
** 공공조달시장이 창업·벤처기업 제품을 선도적으로 구매해 주는 등 판로개척을 돕고 성장 토대 구축을 지원하기 위하여 전용 쇼핑몰 벤처나라 구축(’16년) - 홍보·전시 지원 에너지 R&D 우수성과 전시(R&D 대전*) 및 유관 기관 연계 C-Tech 포럼** 개최
*산업부 R&D 3개 전담기관(KETEP, KEIT, KIAT) 공동 개최
**에너지혁신기업과 금융·투자기관 간 비즈니스 협력과 교류의 장
친환경 스타트업 지원
초격차 10대 기술 중 친환경·에너지(친환경) 기술을 영위하는 창업 10년 이내 기업에 대한 창업사업화 자금 및 기술사업화 지원*
- 기술전문가 컨설팅, 국내외 인증·인허가, 기술교육 등 기술 고도화 및 창업사업화 관련 교육, 멘토링 등
산업융합 규제특례지원단 추진체계
-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융합 규제특례지원단 운영위원회
(운영위원장(단장): 한국산업기술진흥원장) - 총괄 운영기관
(사무국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
에너지·자원
- 한국가스안전공사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IT·전자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한국인터넷진흥원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의료·바이오
- 강북삼성병원
-
시험·인증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원
-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원
- 한국화학융합시험원
- 한국표준협회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기술정책

지원 개요
- 에너지 R&D 중장기 계획 및 투자전략 수립, 에너지기술·산업 동향 분석 등 국가 에너지 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한 R&D 정책 수립 및 기반조성 연구
세부 내용
정책수립
탄소중립, 에너지신산업 창출, 에너지 안보 등 정부 정책목표 달성 및 대내외 환경변화에 적시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분야 기술개발 정책 수립
- 에너지기술의 중장기 R&D 추진계획 및 투자전략,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등
기반조성
에너지기술 시장 전망 및 에너지산업 현황의 종합적인 조사·분석 등 정책수립 기반 마련
- 에너지기술·산업 생태계 분석, 에너지기술기업 및 혁신벤처 실태조사 등
인력양성

지원 개요
- 내용 에너지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산업과의 인력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에너지 전문인력 양성 지원
-
원자력
차세대 원전
초격차 기술 -
에너지효율
에너지 시스템
통합 관리 -
수소
고효율화,
생산방식 다변화 -
CCUS
저장 설계시공,
전문탐사 -
ESS
빅데이터 기반
O&M -
섹터커플링
에너지하베스팅
핵심기기술 -
산단건물
디지털 기반
수요관리 전문인력 -
연료전지
고효율, 무탄소,
인증기술 인력 -
전력계통
빅데이터 활용
전력망 운영 기술 -
자원순환
배터리 재활용
기술 인력 -
청정연료
무탄소 가스터빈
설계 및 제작 -
정유
정유공정 디지털
전환기술 인력 -
태양광
AI활용 제조공정
혁신기술 -
풍력
해상풍력단지
데이터분석, 최적화
국내 교육과정 지원
에너지 분야별·지역별 기술인력 불균형 해소와 미래 에너지산업의 인재 확보를 위한 국내 대학(원) 교육과정 및 R&D 훈련 지원
- 융합대학원 : 에너지 기술, 법, 제도, 정책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 인재 육성
- 혁신연구센터 : 에너지분야 최정상급 인재 육성
- 에너지기술공유대학, 지역에너지 클러스터 : 지역에너지 중점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 맞춤형 인재 육성
해외 교육과정 지원
국내 연구인력의 해외 교육과정과 해외 연구인력의 국내 교육과정 연계 지원
- 에너지 신산업 글로벌 : 해외 우수 연구기관 파견하여 공동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석·박사 육성
- 글로벌 에너지정책 전문가 양성 : 해외협력대상국 공무원 대상으로 국내 석·박사 육성
기반
에너지산업 기술인력 수급 및 직업경로 조사를 통해 에너지 인력 생태계 파악하여 에너지분야 인력양성 정책 수립 및 조사·분석 지원
- 에너지 전문인력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일자리 정보 포털, 혁신인재포럼, 채용박람회 등 운영(이미지, 홈페이지 주소(jobnavi.ketep.re.kr) 참고)
수소에너지

지원 개요
-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 배출이 없는 친환경 수소에너지의 전주기(생산, 저장·운송, 활용 등) 기술개발과 사회 기반 조성을 위한 안전관리 기술개발 지원
세부 내용
수소생산
청정수소 생산 확대를 위한 수소 생산기술 확보 지원
- 수전해 태양광, 풍력 등 무탄소 전력을 이용해 물로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로 안정적 수소 보급 확대를 위한 상용급 수전해 기술 개발
- 추출수소 천연가스, 암모니아 등 원료를 이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로 효율적이고 경제성 있는 수소 추출 기술 개발
수소 생산 기술
-
-
전기분해
신재생에너지
물
- 이동
-
수전해
- 이동
-
수소
산소
-
전기분해
-
-
천연가스
개질천연가스
물
- 이동
-
개질
- 이동
-
수소
이산화탄소
-
천연가스
수소저장·운송
경제적·안정적인 수소 공급체계 구축을 위한 기술 개발 지원
- 수소이송 고압기체 또는 액체 형태로 저장된 수소를 수요처로 안전하게 운송하는 기술로 운반차량, 배관 등 핵심 기술 개발
- 수소충전소 수소모빌리티의 연료인 수소를 충전하는 시설로 충전기, 저장용기 등 고압기체 및 액체수소 충전소 핵심 장비·부품 기술 개발
수소 저장·운송 기술
![수소 저장·운송 기술 : 수소생산[기체]>입축기>고압튜브 트레일러>수소충전소(수소활용) / 수소생산[액체]>수소 액화>액화수소 탱크로리>수소충전소(수소활용)](/resources/images/mps/content/hydrogen_img1.jpg)
수소활용
무탄소 발전 및 모빌리티 확대를 위한 수소연료전지 기술 개발 지원
- 건물·발전 수소의 화학에너지를 전기 및 열로 직접 전환하는 고효율 청정 발전 기술로 건물 및 분산전원에 적용할 수 있는 연료전지 개발
- 수소모빌리티 수소에너지를 연료전지시스템을 통해 추진력을 얻는 기술로 고효율, 고내구성을 갖는 육상용, 해상용, 항공용 연료전지 개발
수소 활용 기술


에너지안전
에너지 핵심설비·시설의 안전성 확보 및 사고예방 기술개발 지원
- 수소안전 청정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한 선제적 안전 기술로 수소 전주기(생산-저장·운송-활용) 설비·시설의 신뢰성 확보 및 사고 예방 기술 개발
- 전기안전 전기재해 감소를 위한 기술로 IoT·ICT 등 기술을 접목한 수용가 전기설비(220V~154KV)의 안전성 확보 및 재해 예방 기술 개발
원자력

지원 개요
- 원전산업의 경쟁력 제고 및 글로벌 시장 선도를 위한 차세대 원전, 가동원전 안전, 설비성능향상, 해체‧방폐물 관리 등 원전 전주기 기술개발 지원
세부 내용
원전 기술
차세대 원전, 원전 안전 강화, 설비/운영 성능 향상, 원전 해체 등과 관련한 핵심기술개발을 통해 전력의 안정적 공급기반을 마련
- 차세대 원전 기술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미래 원전 수출 시장에 대응하고,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래 선도 기술개발 추진
- 원전 안전 강화 기술 자연 및 인적 재난에 의한 원전사고 등에 대비하여 중대사고 대응, 내진성능 강화 등과 관련된 기술개발을 통해 원전 안전성 강화
- 원전 융합 기술 재생에너지 연계 탄력운전, 수소‧열생산 등 다양한 분야로 원전의 활용도 확대를 위한 기술개발
- 설비 성능 향상 기술 원전 기자재의 국산화, 품질 향상, 정비 고도화를 지원을 통해 기자재 공급망 확보 및 산업 생태계 강화
- 원전 해체 기술 상용 원전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해체를 위한 기술개발 및 검증기반 구축
차세대 원전기술 | 원전 안전 강화 |
---|---|
![]() ![]() |
![]() |
원전 탄력 운전 | 원전 해체 전주기 기술 |
---|---|
![]() |
![]() |
방폐물 관리
원전의 운영 중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을 중간저장 시설 또는 처분장으로 안전하게 운반‧저장하고, 영구히 처분하기 위한 기술
- 사용후핵연료관리 기술 원전에서 전력 생산에 사용된 후 인출된 사용후핵연료를 운반, 중간저장, 영구처분을 위한 용기‧시설의 설계 및 부지 장기 안전성 평가 기술
- 중‧저준위방폐물관리 기술 단계적 확대되는 중‧저준위방폐물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하기 위한 중저준위방폐물의 인수‧처리‧처분 관리 기술의 고도화
심층처분 안전성 확보 부지환경변화 예측 기술 |
---|
![]() |
연구용 지하연구시설 구축 |
---|
![]() |
복합처분시설(동굴·표층·매립) 운영 안전관리기술 | |||||||
---|---|---|---|---|---|---|---|
처분시설 운영 |
인수 |
|
|||||
처리 |
|
||||||
평가 |
|
||||||
폐쇄 |
|
||||||
![]() |
![]() |
![]() |
![]() |
||||
인수 | 처리 | 평가 | 폐쇄 |
청정화력

지원 개요
- NDC(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및 석탄‧가스 발전소의 저탄소‧무탄소화(암모니아, 수소 혼소/전소)를 위한 기술개발과 및 발전설비 국산화 기술
세부 내용
청정화력
NDC(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및 석탄‧가스 발전소의 저탄소‧무탄소화(암모니아, 수소 혼소/전소)를 위한 기술개발과 및 발전설비 국산화 기술
- 암모니아 혼소 기존의 석탄화력발전소에 무탄소 연료인 암모니아를 혼소하여, 주 연료인 석탄을 대체함으로써 탄소 배출을 기존 석탄화력 대비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기술개발
- 수소 혼소 기존의 LNG화력발전소에 무탄소 연료인 수소를 혼소하여, 탄소 배출을 저감하고 수소경제 기반 기술의 조기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 수소 전소 기존의 LNG화력발전소에 무탄소 연료인 수소를 사용하는 고효율 가스터빈 개발과 이에 기반하여 재생에너지 변동성에 대응하는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무탄소 전력망 구현에 필요한 발전시스템 기술개발

* 출처 : 한국중부발전, 두산에너빌리티
전력계통

지원 개요
- 합리적 에너지 믹스를 뒷받침하는 미래형 전력망 구축을 위한 HVDC, MVDC, AC/DC 하이브리드 기자재 및 시스템 기술
세부 내용
전력계통
전력계통은 전력을 생산(발전)하고, 전송(송전)하고, 분배(배전)하고, 소비(수용가)하는 전력 네트워크 전체를 의미
- 단기적 AC 전력망 보강 및 중기적 DC 전력망 전환을 지원할 수 있는 기술개발
- 장기 관점에 국가기간전력망 확충과 첨단 산업단지 전력공급 난제 해결을 위한 GW 규모의 미래형 송전망 기술개발
 > 송정[765/345/154kV](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 운송 / 풍력) > 변정[765/345/154kV](소비자 환경에 맞게 전압 조정) > 배전[22.9kV](소비자에게 전력공급 / 태양광) > 판매[380/220V](주택, 빌딩, 공장 / 신재생, 수요감축자원 등 프로슈머(Prosumer)확대)](/resources/images/mps/content/power_system_img2.png)
스마트그리드

지원 개요
- ICT 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통신, 제어 등의 양방향 운영을 통한 전력 수요와 공급을 최적화하는 미래형 전력망 구현 기술
세부 내용
실시간 전력거래 플랫폼
분산전원 및 유연자원 통합 운영
* 재생에너지 출력변동과 수요의 계절·시간적 변화에 따라 실시간 상황을 예측하고 수요-공급 균형 유지와 전력계통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유연자원 통합 운영 기술

![T/SO-DSO 협조운영[DSO(배전계통 운영자 DER 전력거래 관리), 통합발전소(전력중개사업자), T/SO(송전계통 운영자 전력 시장)] / 개발DER[PV, WIND, ESS] / P2X(Sector Coupling)[VPP-P2X 섹터커플링 플랫폼, P2H, P2G, P2M Station] / NWAs[NWAs통합운영시스템, NWA Cube, 개별 NWA]](/resources/images/mps/content/power_system_img4.png)
ESS

지원 개요
- ESS 안전성 확보 및 비리튬계/비전지 장주기용 ESS 기술개발
세부 내용
ESS
ESS는 전기에너지를 기계, 전기화학, 열, 전기, 가스 등 매체로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시점에서 발전하여 사용하는 시스템
- 송배전, 발전단을 지원하는 리튬계/비리튬계 ESS 기술개발 및 화재안전성 검증센터 등 기술기반 구축
- 에너지전환 부문 탄소중립 구현을 위한 저비용, 친환경, 고효율, 장수명 에너지저장 기술
![발전[원자력,화력,수력 등 전통에너지발전 > 발전 부문 ESS(확정용량 제공) / 태양관 발전, 풍력발전 > 신재생에너지연계ESS(에너지 이동,재생에너지 평활)], 송전[전력변압(승압) > 전력변압(감압{송배전 연계 ESS} - 보조서비스 - 가상종전선)], 배전[배전, 수용가용ESS(전기요금 절감)], 수용가[변압기(감압) / 태양광발전 > 빌딩, 아파트, 상업용 설비 등 / 풍력 발전 > 공장, 산업 설비 등]](/resources/images/mps/content/power_system_img5.png)
자원 · CCUS실

지원 개요
- 자원 공급망 확보를 위해 석유·가스·광물 자원의 탐사·생산·재자원화 기술고도화 및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활용(CCUS)기술개발 지원
세부 내용
자원개발
석유·가스 국내 탐사기술 고도화 및 현장문제 해결형 전주기 기술 개발, 핵심광물 공급망 확보를 위한 광물 생산(탐사-개발-활용) 기술 확보
- 석유·가스 3D/4D 물리탐사연구선 건조를 통해 해저자원탐사*, CCS 등 국가정책사업의 효율적 추진 및 글로벌 이슈 대응
* 전통 탐사 기술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ICT 기술 융합 및 활용영역 확대
- 핵심광물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탄소중립 및 미래 산업 육성과 관련한 핵심광물* 자원의 안정적 공급망 구축 지원
* 국내 타이타늄·몰리브덴 생산 기술 확보 및 해외 저품위(리튬, 니켈) 원료 전주기 기술개발 지원

자원순환
자원 공급 불안정의 영향을 줄이고,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하여 재자원화·재제조 기술개발을 통해 공급망 확보
- 재자원화 신산업* 관련 핵심광물(리튬, 코발트, 희토류) 재자원화 및 자원순환 기술축적형 공통활용** 핵심기술 지원
* 폐배터리, 연료전지, 공정 촉매 등 미래 발생 폐자원에 대한 선제적 재자원화 기술 자립
** 천연자원과 순환자원에 공통활용 가능한 주요영역인 원료화 및 물질재활용 기술의 수요 발굴과 지원 강화
- 재제조 폐기계* 재제조 기술개발 및 재제조품 품질 평가·인증 기반구축을 통한 사업화 관련 기술개발 지원
* 산업기계, 전력기자재, 특수차량 엔진 등 국내 10년 이상 대량 축적된 폐기계 대상 재제조 기술개발
![원자재(천연자원) > 소재부품[(물질재활용)] > 제품[제재조] > 사용[재사용] > 사용후 제품 > 나머지는 폐기물(소각, 매립 등) 에너지 회수](/resources/images/mps/content/CCUS_img2.png)
CCUS
‘30년 NDC(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및 CCUS 기술의 조기상용화를 위한 포집·저장·수송 등 요소 기술별 지원
- CCS 국내 저장소 구축을 위한 시범사업* 진행 및 CCS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상용급 CCS 실증사업 추진
* 한반도 인접해역 종합 탐사 수행을 통한 해상 대규모 CO2 저장소 도출, 폐갱도를 활용한 이산화탄소 육상저장
- CCU 정유·철강산업 CCU 통합공정* 기술개발 지원 및 CCUS 분야 산업 진흥 목적의 법률 제정 지원
*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이산화탄소 활용 액체연료 생산기술, 이산화탄소 전환기술

-
포집(Capture)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만을
분리 · 정제하여 포집 -
활용(Utilization)
이산화탄소를 시장 가치가 있는
제품 원료로 사용 -
저장(Storage)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땅속과
해저 등에 저장
재생에너지

지원 개요
- 미래시장 지향 재생에너지 핵심기술 개발, 산업생태계 구축 등을 통한 산업경쟁력 제고 및 RE100 대응 강화
- 국내기술 기반의 재생에너지원 확보를 통한 에너지 자립 비중 확대 및 에너지 안보 위기 대응
세부 내용
태양광
차세대 태양전지 시장 글로벌 경쟁력 선점과 국내 태양광 보급확산을 위한 탠덤전지 조기 상용화, 사용처 다변화, 순환경제 구축 및 수용성 제고 기술개발 중점 지원
- 탠덤전지 조기 상용화 ’30년까지 탠덤전지 효율 35%, 모듈 효율 28% 달성 목표로 차세대 탠덤전지* 집중 투자
* 페로브스카이트/결정질 실리콘 탠덤 태양전지(이하 탠덤전지)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위에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을 적층하여 다양한 파장의 태양광 이용률을 극대화한 것으로, 차세대 태양전지 중 가장 유망한 후보로 전망
- 사용처 다변화 유휴공간 활용 적용처 다변화 및 ICT 융합 서비스 개발
- 순환 경제 태양광 산업 순환 경제 달성을 위한 저탄소 모듈 개발 및 재활용·재사용 확대
- 수용성 제고 계통 유연성 확보 및 수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 ‧ 제도 ‧ 표준 연계 기술개발

풍력
초대형 풍력 발전 시스템 설계 ‧ 제작 기술을 확보하여 풍력산업 생태계를 육성하고, 국내 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수출 확대를 위해 풍력발전 소재 ‧ 부품 기술 고도화 지원
- 초대형 풍력터빈 20MW급 이상의 초대형 터빈과 핵심부품 국산화 개발로 국내 풍력 공급망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상 풍력 시장 보급 확대 및 글로벌 공급망 주도
- 해상풍력 부유체 반잠수식 · 인장각형 등 다양한 형식과 20MW급 이상의 초대형 부유체를 개발하고, 부유체 핵심부품의 단가저감을 통한 경쟁력 확보로 국내외 시장 확대
- 단지 운영·관리 대규모 풍력 발전단지의 이용률 향상과 유지 · 관리비용 저감을 위한 단지설계 및 빅데이터 · AI기반 O&M 플랫폼 기술 개발


바이오 에너지
지속가능한 수송용 바이오연료 생산 기술, 친환경 바이오연료 생산기술, 차세대 바이오 연료 생산 및 활용 기술개발 등 지원
- 수송용 바이오연료 바이오항공유(SAF) 생산 기술, 바이오디젤 생산기술 및 원료 다양화 기술
- 친환경 바이오연료 가축분뇨를 활용한 고체연료 생산 및 활용 기술 등
- 차세대 바이오연료 비식용원료, 미세조류 등을 활용한 차세대 바이오연료 생산 및 활용기술

에너지 수요관리

지원 개요
- 에너지 수요부문을 고효율·저소비 구조로 전환하고, 차세대 에너지 신산업 육성 및 온실가스 감축 등을 위한 에너지효율혁신, 스마트수요관리 등 기술개발 지원
수요관리 : 에너지 소비량 감축 및 전력 부하 저감을 위한 에너지 효율향상 및 부하관리 등의 활동
세부 내용
에너지 소비부문(산업, 건물, 수송)의 다양한 수요관리 기술개발을 통한 전기·가스·열에너지 사용량 절감과 이용효율 향상 지원
산업분야
에너지‧자원 최대 소비주체인 산업계의 주요 에너지 다소비 기기·설비·공정의 효율을 높이고 통합 관리하여 에너지 저감 및 저탄소화 지원
- 전동기, 유체기기, 공업로 등 에너지다소비 기기의 효율향상, 무탄소 전환 기술, 미활용에너지 사용확대 등

* 출처 : 2050 탄소중립에너지기술로드맵 에너지설비
건물분야
건물 핵심 에너지설비 기술개발과 이를 융합한 기축‧신축 건물의 제로에너지 빌딩 전환 및 커뮤니티(건물群) 최적화 모델 구축 기술개발 지원
- 냉난방, 공조, 조명 등 고효율 설비, BEMS 개발 및 에너지관리 빅데이터 구축 등

* 출처 : 코리아IT타임즈(2050 탄소중립에너지기술로드맵 산단건물 내용 발췌)
수송분야
유해 배출가스 없는 전기 모빌리티 보급 확대를 위한 충전인프라 기술개발 중심의 수송 부문 에너지 절감, 저탄소화 기술개발 지원
- 전기 모빌리티 충전기 고도화, 충전 편의 제고 및 양방향 수요자원관리 기술개발 등

* 출처 : 4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 이노베이션로드맵 수송효율